3줄요약
1. 아이를 낳으면 2살까지는 지원금을 1세 100만원 2세 50만원을 준다.
2. 60일이 지나면 신청일기준으로 준다.
3. 신청방법>> 복지로 홈페이지 클릭<<클릭시이동
제출서류
사회보장급여 신청(변경)서
아동 명의 또는 부모 등의 명의 통장 사본
제출후발급받아야하는것
보육료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보육료 지원 신청 후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.
카드 발급 금융기관 : KB, 우리, 하나, 신한, NH농협, 롯데, BC 카드 등
신청·발급시 수수료는 없으며, 소득·재산 조사는 하지 않습니다.
부모급여 100만원? 꼭 신청하세요!!
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을 위한 부모급여 정보를 총정리했어요. 2025년 현재, 만 2세 미만 아동 양육 가정에 큰 도움이 되는 부모급여! 100만원 지급 소식에 궁금하셨다면, 지금부터 지원 대상, 금액, 신청 방법, 다른 혜택까지 자세히 알아볼게요.
부모급여 지원 대상
만 2세 미만 아기를 키우는 가정이 부모급여 대상이에요. 아기의 국적이 대한민국이면 부모 국적 상관없이 받을 수 있어요. 즉, 부모 중 한 명이 외국 국적이어도 아기가 한국 국적이면 지원 가능해요.
지원 기간
아기가 태어난 날부터 24개월, 만 2세 생일 전 달까지 받을 수 있어요. 예를 들어 2025년 7월 1일생 아기는 2027년 6월까지 지원받아요. 매달 정해진 금액이 지급되니 꼭 신청하세요.
소득 기준
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가정이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. 예전에는 소득 기준이 있었지만, 지금은 아기만 있다면 누구나 가능해요. 단, 어린이집 이용 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지만 차액은 현금으로 지급돼요.
부모급여 지급 금액
부모급여는 만 2세 미만 아동 가정에 매달 지급되는 정부 지원금이에요. 아이가 2살 될 때까지 최대 24개월 동안 받을 수 있어요. 아이 2세 생일 전달까지 지급된다는 점 기억하세요.
0세 지급액
아이가 태어난 달부터 12개월까지는 매달 100만 원을 받을 수 있어요.
1년 동안 총 1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셈이죠.
1세 지급액
13개월부터 24개월까지는 매달 50만 원이 지급돼요.
1년 동안 총 6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.
어린이집 이용 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지만 차액은 현금으로 지급돼요.
신청방법>> 복지로 홈페이지 클릭<<클릭시이동
부모급여 신청 방법
부모급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신청 가능해요. 온라인은 복지로 사이트나 정부24 홈페이지에서, 오프라인은 거주지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.
온라인 신청
복지로 사이트나 정부24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요. 집에서 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.
오프라인 신청
주민센터 방문 시 부모 신분증, 아기 출생증명서 등 서류가 필요해요. 미리 준비하면 빠르게 신청할 수 있어요.
신청 시기
아기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해야 출생월부터 소급 적용돼요.
60일 지나면 신청일 기준 지급되니 최대한 빨리 신청하세요. 아기 기본 정보와 부모 계좌 정보가 필요해요.
추가 지원 제도
부모급여 외에도 다양한 출산 및 양육 지원 제도가 있어요. 아동수당, 첫만남이용권, 양육수당, 전기료 경감 등 다양한 혜택을 챙겨보세요.
아동수당
만 8세 미만 아동에게 매달 10만 원씩 지급되는 혜택이에요. 부모급여와 별도로 받을 수 있어요.
첫만남이용권
출생신고 후 200만 원 바우처를 받을 수 있어요. 아이에게 필요한 물품 구매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.
첫만남이용권신청<<클릭시이동
양육수당
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미이용 시 가정 양육 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에요.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경우에 해당돼요.
전기료 경감
출산 가구 전기료 경감 제도로 전기 사용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. 출산으로 늘어난 전기 사용량에 대한 부담을 덜어줘요.
마무리
부모급여는 만 2세 미만 아동 가정에 큰 도움이 되는 제도예요. 0세는 매달 100만원, 1세는 매달 50만원이 지급돼요. 신청 조건과 방법을 잘 숙지하여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. 다양한 출산 및 양육 지원 제도도 함께 활용하여 아이와 행복한 시간을 보내세요.
#부모급여 #출산지원 #양육지원 #아동수당 #첫만남이용권
25만원 민생지원금 받을수 있나요? (0) | 2025.02.01 |
---|---|
70세이상 79세까지 일자리 알아봐주는 서울시 일자리 (0) | 2025.01.30 |
딥시크가 모에요? deepseek? (1) | 2025.01.29 |
2025년 65세, 75세 이상 어르신 위한 복지혜택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1.06 |